여러분은 인간관계 속에서 해야 할 일이지만 두렵고 불안해서 회피를 한 적이 있었나요? 누구나 다 있었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회피성 성격장애는 그러한 회피성이 장애가 될 정도로 심해진 사람들을 일컫는 말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회피성 성격장애란 무엇인지, 발병원인은 무엇인지, 해결법 그리고 회피성 성격장애를 가지고 있으면 어떤 문제점들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회피성 성격장애란?
2. 회피성 성격장애의 발병원인
3. 회피성 성격장애로 인한 일상생활의 문제점
4. 회피성 성격장애 해결법
회피성 성격장애란?
회피성 성격장애란 일상생활에서 사람들과의 접촉, 사회적 상호작용, 그리고 새로운 상황에 직면하는 것 등을 불안하게 느끼는 경향이 강한 성격장애입니다. 여기서 포인트는 수줍음이 많거나 소심한 성격을 가진 회피성 성격과 혼동될 수도 있는데 회피성 성격과 회피성 성격장애는 명확히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회피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의 교류를 피하거나, 새로운 상황을 피하기 위해 지나치게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사용하거나, 불필요하게 자신의 사적인 일을 숨기기도 합니다. 또한 타인의 비판에 대한 두려움이 강하기 때문에 스스로 사회관계를 억제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리고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스스로를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이로 인한 열등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회피성 성격장애의 발병원인
회피성 성격장애의 원인은 다양하고 복합적입니다. 유전적 요소, 생물학적 원인, 그리고 환경적인 요소들이 있는데, 유전적 요인에 대한 일부 연구에서는 회피성 성격장애와 관련된 유전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세로토닌 수송체 유전자 (SERT)와 회피성 성격장애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고, 다른 연구에서는 대상포진 바이러스와 회피성 성격장애 사이에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고도 말합니다. 또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수치가 증가하면 회피성 성격장애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그 외에도 환경적인 요인으로 과거에 경험한 사회적 불안감이나 가정 내의 불화, 가족구성원과의 사회적 교류 부족, 부모의 소극성, 스트레스에 노출된 경험 등이 회피성 성격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회피성 성격장애로 인한 일상생활의 문제점
회피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대인관계에서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낯선 사람과의 접촉 자체를 피하거나 사적인 마음을 나누는 것을 꺼려하기 때문에 친밀한 관계 형성과 유지가 어려울 수 있고 친한 사람들과만 관계를 가지려는 경향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또 직장이나 학교에서 동료들과의 상호작용을 피하려 하고 이로인해 그룹과제라든가 프로젝트에 참여하지 않아 일과 학습에 대한 성과저하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또한, 전반적인 사회활동의 참여가 어려워 고립감과 외로움을 자주 느낄 수 있고, 이는 우울증으로 발전할 수도 있습니다. 회피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근본적인 문제는 타인으로부터의 인정과 사랑을 갈구하기 때문에 비판과 거절을 받을까봐 두려워 인간관계 자체를 피하게 되는 것이죠.
회피성 성격장애의 해결법?
회피성 성격장애는 전문적인 치료를 통해 개선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회피성 성격장애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심리치료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인지행동치료나 대인관계치료, 그리고 심리치료 중 하나를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인지행동치료는 불안감을 완화하고, 대처 전략을 개발하며, 자신감을 키우는 방법으로 회피성 성격장애를 치료합니다. 대인관계치료는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을 다루는 방법으로,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방법을 학습하고,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하는 법을 배우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심리상담치료는 자신과의 대화를 통해 불안과 스트레스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는 방법입니다. 약물치료도 도움이 될 수 있는데요 회피성 성격장애는 세로토닌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세로토닌의 레벨을 조정해주는 항우울제 복용이 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심리학 산책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례한 사람들을 만났을때 대처하는 방법 (0) | 2023.03.19 |
---|---|
현대인이 겪기 쉬운 도파민 중독의 문제점과 사례, 해결법 (0) | 2023.03.16 |
외모지상주의의 원인과 해결법 (0) | 2023.03.14 |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과 자존감에 대한 이야기 (2) | 2023.03.13 |
할 일을 미루는 사람들의 원인과 해결법 (0) | 2023.03.07 |
댓글